[2022 지구의 날] 병든 지구에서는 아무도 건강할 수 없다

CLIMATE EMERGENCY IS A HEALTH EMERGENCY

국경없는의사회는 기후위기와 환경의 질적 저하가 가져오는 영향에 주목하여 ‘지구보건(Planetary Health)’이라는 패러다임을 통해 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와 관계된 보건 문제를 이해하고자 노력해왔다. 지구보건은 환자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국경없는의사회의 원칙의 표방이며 기후위기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이기도 하다.

기후위기와 보건의 연관성은 이미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영양실조,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환,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병 발생 패턴이 변화하는 등 기후변화는 다양한 의료적 필요를 배가했다. 이에 더해, 인구압(Demographic Pressure) 및 토지 사용과 밀접히 연관되어 식량 불안정, 분쟁과 피난을 심화하는 등 기존의 인도적 위기 상황을 더욱 악화했다.

말라리아 예방에 효과적인 모기장을 사용하는 모습. (니제르) ©Zied Ben Romdhane/Magnum Photos

 

1. 벡터 매개 질병 확산. VECTOR-BORNE DISEASE

기온이 상승하고 강수 패턴이 변화하면서 벡터 매개질병이 나타나는 지역과 기간도 변한다. 특히 우기가 길어지면서 홍수를 유발하고, 병원균의 매개체인 모기가 번식하고 생존하기에 최적의 환경이 갖춰진다. 연구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매년 약 1,500만 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추가로 발생한다고 한다. 2020년 니제르에서는 우기가 길어지며 말라리아 유행이 일반적인 수준보다 더욱 오래, 심각하게 지속됐다.

뎅기열 또한 모기를 매개로 전파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아프리카, 아메리카, 중동 지역의 지중해 연안, 동남아시아와 서태평양 지역 등 100여 개국에서 발병되는데, 지난 20년 동안 환자 수가 10배 가까이  증가할 정도로 전파력이 강하다. 기온상승으로 더운 지역에서 서식하는 모기는 개체수와 서식지가 늘어나면서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이 뎅기열 위험군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또 기후변화는 라임병과 같은 질병의 매개체인 진드기의 증식을 야기하기도 한다.  진드기의 생애주기나 개체수는 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기온이 상승할수록 진드기가 서식하기 적합한 지역이 늘어나 기존에는 라임병이 창궐하지 않던 지역에서 발병률이 증가하는 결과를 낳는다.

아동의 영양실조 및 중증도를 알아볼 수 있는 뮤악(Muac) 밴드. 영양실조를 신속히 진단하여 신속하게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Elise Mertens/MSF

 

2. 늘어나는 영양실조 환자. MALNUTRITION

가뭄은 식량 생산 체계에 영향을 미쳐 이전에는 영양실조 위기가 발생하지 않던 지역에 영양실조 위기가 생기거나 기존의 위기가 악화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영양실조는 특히 물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강우량이 적으면 인간의 식량원이 되는 농작물을 재배하거나 생산할 수 없다. 반대로 강우량이 급증해도 해충이 늘어나고 질병이 창궐하여 흉작을 야기한다. 또 주식원인 가축도 물 없이는 기를 수 없다. 기후 변화로 인해 극지방의 빙상과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하는데, 해안 지역에 바닷물이 유입되면 농작물 재배가 어려워진다. 

중앙아프리카 차드에서는 올해 1월 심각한 가뭄으로 영양실조뿐만 아니라 심각한 식수 위기까지 발생했다. 차드는 반건조기후 지대인 사헬 지역에 위치하며 기온 상승, 불규칙한 강수량, 사막화 등 급격한 기후 변화가 일어나는 곳으로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에 취약한 지역이다. 지난 10년간, 사헬 지역의 사막화가 급격히 진행되며 남쪽으로 150km 정도 늘어났고 농지와 목초지가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수확할 곡물이 없는 기아 공백(Hunger Gap)이 길고 심각한 수준으로 이어지며 영양실조로 사망하는 아동이 늘어나고 있다.

남수단 유니티주의 침수 지역에서 두 여성이 가구를 옮기고 있다. ©Sean Sut

 

3. 빈번해진 자연재해.  NATURAL DISASTER

기후위기가 우리 삶 속에 얼마나 가까이 다가와 있는지 체감할 수 있는 지표는 바로 극단적인 기상이변 현상이다. 자연재해는 더욱 심각한 수준으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작년 12월, 필리핀에서는 24만 명에게 피해를 끼친 엄청난 규모의 태풍 라이(Rai)가 발생했으며, 1월 말에는 열대폭풍 아나(Ana)가 아프리카 내륙 말라위를 강타했고, 2월에는 마다가스카르에 사이클론 바치라이(Batsirai)가 상륙하며 11만 명 수재민의 삶을 피폐하게 했다. 지난 겨울에는 남수단에 역대 최악의 폭우로 대홍수가 발생했는 데, 무려 80만 명의 삶에 영향을 주었다. 홍수로 집을 잃은 사람들이 실향민 캠프로 유입되면서 캠프는 포화 상태다. 홍수로 하수 처리 시설이 고장나고, 개방된 배수관에 오물이 뒤엉키며 오염된 물이 그대로 노출됐다. 열악한 식수 환경은 콜레라, E형 간염, 급성 수성 설사 등 물을 매개로 하는 수인성 질병에의 노출 위험을 더욱 높인다.

필리핀에서 태풍 라이(Rai)로 병원 건물 지붕이 통째로 날아가고 여기저기 건물 잔해가 흩어져 있다.©MSF

 

4. 분쟁의 촉발과 피난민의 증가. CONFLICT AND DISPLACEMENT

기후변화는 간접적으로 분쟁 및 실향을 야기하기도 한다. 폭염, 폭우, 홍수, 가뭄 등의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식량 자원이나 토지 자원의 부족은 분쟁의 씨앗이 되어 폭력과 불안정한 치안, 대규모 피난이란 결과를 낳는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사헬 지대에서는 목축업자와 농부가 사용할 목초지가 감소하면서 자원을 둘러싼 갈등과 분쟁이 일어나 피난민이 발생했다. 이렇듯 기후위기 및 기후재난은 식량원을 감소시키며 직접적으로는 아닐지라도 무력분쟁이 발생할 위험을 높인다. 어떠한 이유로 피난했든 피난민들은 또 다시 기아에 시달리는 생활을 전전하다 영양실조 등 질병과 마주한다. 당뇨와 같은 만성 질환을 앓는 이들은 주기적으로 복약해야 하는 의약품을 구할 길이 없어 상태가 악화하기도 한다. 어렵사리 피난민 캠프를 찾아간 이들은 식량, 식수위생, 의료서비스 접근성이 차단된 채 밀집된 곳에서 열악한 생활을 하며 여러 질병에 노출된다.

콩고민주공화국 이투리지역에 계속된 공격으로 2달 만에 4만 명 넘는 피난민이 난민 캠프로 유입되었다. ©Alexis Huguet/MSF

차드에서는 심각한 건기가 지속되어 영양실조 위기가 악화했다. ©Claudia Blume/MSF

 


국경없는의사회는 현장에서 기후위기로 고통받는 취약 인구를 지원하기도 하지만, 구호활동과 더불어 이러한 위기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는 활동도 중요한 사명이라 여긴다. 따라서 국경없는의사회는 ‘기후위기는 곧 의료위기’란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2022년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지구보건 컨퍼런스: 기후위기와 인도적 지원”을 개최해, 기후위기가 보건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 인도적 지원 단체들이 취하고 있는 기후위기 대응 조치 및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첫 번째 세션에는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사무차장을 역임한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와 COP26에서 지구보건을 주제로 연설한 스티븐 코니시 국경없는의사회 제네바 운영센터 사무총장이 참석해 기후위기와 인도적 지원의 현재를 짚어볼 것이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모니카 룰 국경없는의사회 제네바 운영센터 의료지원국장, 이지선 세이브더칠드런 한국 기후변화대응팀 매니저, 브루노 조첨 기후행동 액셀러레이터 사무총장이 참석해 인도적 지원단체의 기후위기 완화 및 적응 사례를 공유한다.

국경없는의사회 지구보건 컨퍼런스: 기후위기와 인도적 지원은 4월 22일(금) 오후 3시 국경없는의사회 한국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