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현장소식

코로나19를 맞이하는 의료 접근 취약 인구
2020.03.31
글| 조나단 휘탈(Jonathan Whittall), 국경없는의사회 브뤼셀 운영센터 분석국 디렉터 조나단 휘탈(Jonathan Whittall) 국경없는의사회 브뤼셀 운영센터 분석국 디렉터 © Alice Martins 흐르는 물과 비누가 없는 곳에서 어떻게 손을 자주 씻을 수 있을까? 빈민가나 난민 캠프에서는 어떻게 ‘사회적...
코로나19: 유럽에서 코로나19 대응 활동 확대하는 국경없는의사회
2020.03.30
국경없는의사회는 최근 이탈리아, 스페인, 스위스, 프랑스, 노르웨이, 그리스, 벨기에에서 코로나19 대응 활동을 확대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인도주의 구호 단체로서 위기 상황과 사회 붕괴의 순간에 취약계층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합니다. 유럽은 발전된 의료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매우 위태로운 상황입니다...
2020.03.27
부르키나파소 티타오 지역에서 국경없는의사회 간호사가 아동을 치료하고 있다. ©Noelie Sawadogo/MSF 서아프리카 북쪽에 위치한 내륙 국가 부르키나파소에서 최근 활동한 이사벨 드푸르니(Isabelle Defourny) 국경없는의사회 운영 국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최근 국가 내 분쟁 피해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긴급한 인도적...
세계 결핵의 날: 결핵 환자가 코로나19라는 제 2의 비극을 막으려면
2020.03.24
전 세계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국경없는의사회는 특히 전 세계의 취약계층을 우려하고 있다. ‘세계 결핵의 날’을 맞아 국경없는의사회는 코로나19의 영향이 보다 심각할 수 있는 결핵 환자를 조명하고자 한다. 코로나19에 대응하는 동시에, 전 세계 결핵 환자에 대한 예방, 진단, 치료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2020.03.19
코로나19 대응 상황(2020년 3월 18일 업데이트) 최근 유럽에서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며, 유럽은 현재 팬데믹(Pandemic;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의 진원지가 되었다. 현재 유럽은 최전방 의료 종사자를 위한 보호장비 부족이 심각하다. 개인보호장비가 부족하면 의료 종사자들이 바이러스 감염 위험에 노출되며,...
2020.03.18
  시리아 북서부에서는 지난 3개월 간 약 100만 명의 실향민이 발생했다. 캠프에 사는 실향민들은 고향을 떠나온 지 10개월이 되어간다. 데이르 하산 캠프에는 실향민이 10만 명이 넘어 매우 혼잡한 상황이다. "모두 자신이 살던 곳을 떠나야 했습니다. 고향보다는 안전할 것이라 생각해 산 속으로 왔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2020.03.17
코로나19 가  100여 개 국가로 확산했다. 여기에는 의료 체계가 취약한 국가도 포함되고, 국경없는의사회가 오랜 기간 활동해온 곳도 있으며, 유럽과 같이 코로나19가 특히 치명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지역도 있다. 코로나19로 각국의 여행 제한 조치가 내려지며 전 세계 국경없는의사회 활동 또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 대응의 중요한 교훈
2020.03.16
트리시 뉴포트 국경없는의사회 콩고민주공화국 현장 책임자 및 에볼라 프로그램 부 책임자 국경없는의사회 긴급 코디네이터 트리시 뉴포트(Trish Newport)는 지난 해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 치료 센터에 가해진 무력 공격을 계기로 구호 단체가 에볼라 대응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래는 긴급 코디네이터...
2020.03.13
세계보건기구(WHO)가 11일 코로나19에 대해 세계적 대유행, 즉 '팬데믹(Pandemic)'을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팬데믹이라는 단어는 불합리한 공포를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하며 코로나19는 ‘통제가능한 질병’’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실천하는 간단한 예방 수칙은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2020.03.11
국경없는의사회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 ‘아프가니스탄 소외된 의료 위기의 현실’을 통해 지난 수십 년간 아프가니스탄에 국제 원조와 투자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초 의료와 긴급 의료 접근이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이는 불안정한 상황과 지리적·비용적 한계 때문이며, 의료 시설의 인력과 장비가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