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현장소식

콩고민주공화국: 3가지 문답으로 알아보는 현 분쟁 사태의 위험 요소

2024.03.21

북키부(North Kivu) 및 남키부(South Kivu) 내 전투로 수천 명의 실향민이 발생하면서, 국경없는의사회는 과밀하고 비위생적인 거주 환경으로 인한 질병 확산을 우려하고 있다.

콩고민주공화국 동부 북키부주에서 2년간 이어져 온 무장 단체 M23과 콩고민주공화국 정부군(Armed Forces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FARDC) 및 그 동맹군 간의 격렬한 전투가 지난 1월 말 격화되었다. 이제 해당 전투가 남키부주와의 경계지대까지 번지면서 대규모 실향 사태가 야기되고 있다. 30년간의 분쟁으로 이미 황폐해진 해당 지역에서는 2022년 3월 이후 이미 160만 명 이상이 강제로 집을 떠나 피난길에 올라야 했다.


국경없는의사회 의료 부코디네이터 아브두 무센게치(Abdou Musengetsi)가 해당 지역의 현황 및 주민들의 의료 수요에 대해 질의응답 형식으로 전한다.

이번에 새로 발생한 폭력 사태의 직접적인 결과는 무엇입니까?

북키부 마시시(Masisi) 지역에서 최근 몇 주간 이어진 격렬한 전투로 인해 사케(Sake) 인근에서 새로운 대탈출이 야기되어 주도인 고마(Goma)로 옮겨가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열흘 만에 약 250,000명이 전투를 피해 달아났죠. 이들은 현재 수용 가족들과 머물거나 대부분 고마 서쪽에 위치한 기존 혹은 신규 비공식 실향민 정착지에서 머물고 있습니다.

사케에서 발생한 전투로 목에 총상을 입은 환자. 2024년 2월. ©Marion Molinari/MSF

이러한 지역에서 가족들은 비도 막아주지 못하는 임시 거처에 몰려 지냅니다. 매일 사람들은 국경없는의사회 팀에게 충분한 식량과 깨끗한 식수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어 종종 먹고 마시지 못한 채로 지낸다고 말합니다. 수백 명이 화장실 하나를 나누어 써야 하고 씻을 곳조차 마땅치 않죠. 최근 고마로 대피한 한 여성은 그녀의 자녀들과 등에 짊어진 옷 몇 벌을 제외하곤 아무런 소지품도 챙기지 못한 채 떠나야 했다고 전했습니다. 분쟁이 번지면서 그녀는 수차례 피난해야 했고 현재 캠프에서 지내며 매일 고통에 시달리지만 집으로 돌아가기엔 너무 위험한 상황입니다.

텐트로 만들어진 실향민 임시 거처. 2024년 2월. ©Marion Molinari/MSF

한편 마시시 지역 소재 국경없는의사회 지원 병원 2개와 여러 보건센터는 전쟁 부상 환자를 대거 수용했습니다. 지난 두 달간, 음웨소(Mweso) 소재 보건부 병원에서 활동하는 국경없는의사회 팀은 약 146명의 전쟁 부상 환자를 치료했는데, 주로 총상과 폭상으로 인한 것이었죠. 하지만 고마 북부, 서부, 남부로 향하는 주요 도로가 치안 불안정과 전투 사태로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시설들로 물자를 전달하는 것이 극도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마시시 지역 내 수십만 명의 인도적 지원 및 의료 접근성 또한 심각하게 저해되었습니다.

 

동시에 북키부와 남키부 접경지대에서 발생한 전투로 수만 명이 대부분 남쪽 미노바(Minova)를 향해 대피했는데, 해당 도시는 이미 수많은 실향민들을 수용하고 있었죠. 사람들은 학교나 수십 개의 지역에서 어디든 대피할 수 있는 곳을 찾아 지내고 있습니다.

 

해당 지역에서 우리가 지원하는 보건 시설 일부는 악화된 거주 환경과 연관된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늘어나 과부하에 걸린 상태입니다. 하지만 성폭력과 전쟁 부상 사례가 더욱 늘어나는 것 또한 목격하고 있죠. 미노바 소재 병원은 2월 2일 이래 여성 및 아동 다수를 포함한 167명 이상의 환자를 수용했습니다. 3월 7일 하루 동안 의료진은 부상자 40명과 해당 시설 도착 당시 이미 사망한 상태였던 7명의 사망자를 수용했죠. 최전선으로부터 불과 5km 떨어진 곳에서 총알이 매우 근접히 날아오는 가운데, 환자들은 병상을 나누어 써야 하고 직원들은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밤낮없이 근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가장 우려되는 건 무엇입니까?

보건 측면에서는 전쟁으로 인해 수천 명이 과밀하고 비위생적인 시설에 거주하게 되면서 특히 콜레라를 비롯한 질병의 재확산이 우려됩니다.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성도 부족하기 때문에 콜레라가 확산되기 딱 좋은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이미 몇 달 동안 일부 캠프에서 콜레라가 발생했기 때문에 새로운 사람들이 유입되면 기존의 콜레라 발병이 보다 악화될 수 있습니다.

한 실향민의 빨랫감이 물에 담겨 있는 모습. 2024년 2월. ©Marion Molinari/MSF

분쟁이 재점화되기 전에도 이 두 지역 보건 상황은 이미 심각했습니다. 5세 미만 아동의 백신 접종률이 상당히 낮았거든요.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백신 접종률이 약 3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의약품과 훈련된 의료 전문가 부족으로 인해 보건 시설들이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죠.

 

국경없는의사회 팀은 작년 대규모 이주가 정점에 달한 후 홍역 및 콜레라가 반복적으로 유행하는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당국을 지원했습니다. 또한 마시시, 음웨소, 미노바 보건 구역의 오트 플라토(Hauts Plateaux) 등 보다 외딴 보건 구역에서 일반 및 전문 의료서비스 접근성 제고를 위한 지원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콜레라 사례 증가 시 사람들이 겪게 될 위험 요소는 무엇입니까?

콩고민주공화국 동부 지역에서 콜레라는 새로운 질병이 아닙니다. 콜레라는 풍토병이며 산발적인 사례가 정기적으로 보고 및 치료되고 있죠. 하지만 수십만 명의 실향민이 최근 새로 유입되기 전부터 이미 위생이 열악하고 안전한 식수가 부족했던 과밀한 실향민 정착지에서 지난 18개월간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현재 상황이 극도로 우려스럽습니다.

 

콜레라 사례 증가는 위생 부족과 안전한 식수 및 깨끗한 화장실•샤워실과 같은 위생 시설에 대한 접근성 부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해당 질병은 제때 치료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아동들이 가장 취약한데, 콜레라에 걸리고 단 며칠 만에 사망에 이를 수 있죠.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대부분 환자는 신속한 경구 또는 정맥을 통한 수분 보충이 필요하지만, 일부 환자는 경구 수분 공급처가 설치된 지역사회에서 치료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달간, 국경없는의사회 팀은 고마 안팎에 소재한 실향민 정착지에서 콜레라 환자 수천 명을 치료했습니다. 올해 초부터 두 달 동안 국경없는의사회가 불렝고(Bulengo) 실향민 정착지 소재 보건 센터와 사케 보건 센터에서 치료한 약 1,000명 이상의 환자 중 75%는 해당 지역에 도착했을 때 깨끗한 식수, 화장실, 비누 같은 위생용품에 대한 접근성이 없었고 다른 사람들과 밀접하게 접촉하며 생활하고 있었습니다. 며칠 사이 해당 지역 인구는 50% 증가했죠. 이러한 요인들이 이 전염성 강한 질병 확산에 기여한 것이 분명합니다.

질병 유행 예방을 위해 국경없는의사회는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완전한 식수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작년 국경없는의사회는 키부 호수(Lake Kivu) 근방에 매일 최대 200만 리터의 식수를 펌핑하고 소독하는 물 펌프 및 염소처리장을 설치했습니다. 또한 트럭을 이용해 하루 수십만 갤런의 식수를 실향민 정착지에 배급하고 화장실과 샤워실을 건설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긴급 대응에 불과하며 신규 실향민이 계속 유입되는 상황에서 수요를 충족하기엔 부족합니다. 다른 인도주의 구호 단체와 콩고 당국은 추가적인 물 수송과 더 많은 비상용 화장실 건설을 통해 긴급히 대응해야 합니다.

국경없는의사회가 설치한 물 배급처에서 실향민들이 마시고 씻을 물을 받아 가고 있다. 2024년 2월. ©Marion Molinari/MSF

국경없는의사회는 2023년에만 북키부 및 남키부에서 20,000명 이상의 환자를 치료하고 콜레라 예방접종 전개 및 환자 치료를 이어가고 있긴 하지만, 위생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 이상 우리 의료 대응의 효과는 미미한 수준에 그칠 것입니다. 현재 수요 규모와 불안정한 환경에서 함께 지내고 있는 사람들의 수로 미루어봤을 때, 콜레라가 급격히 확산될까 봐, 국경없는의사회 단독으로는 모든 환자들을 치료하는 것은 불가능할까 봐 걱정됩니다.  보건 위기를 막으려면 다른 인도주의 구호단체들도 하루빨리 개입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