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현장소식
2018.08.16
지난 4개월 동안 가자지구 내에서 펼쳐진 ‘귀환의 행진’ 시위는 이스라엘군의 치명타를 맞았다. 현재 시위대나 피해자 숫자는 줄었지만, 충돌은 끝나지 않았다. 매주 새로운 총상 환자들이 발생한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사태 시작부터 긴급 대응 최전선에서 수술 및 수술 후 치료를 제공했다. 오늘날 국경없는의사회가 마주한 가장 큰 어려움은 복잡한...
2018.08.13
국경없는의사회와 SOS 메디테라네가 공동으로 운항하는 아쿠아리우스호가 지난 8월 10일 지중해를 표류하던 보트에서 사람들을 구조하고 있다.
지중해, 2018년 8월 12일 – 지중해상에서 이어지고 있는 인도주의 위기에 대응해 국경없는의사회와 SOS 메디테라네(SOS MEDITERRANEE)가 공동으로 운항하는 아쿠아리우스호는...
2018.08.11
2017년, 미얀마 라카인 주의 신테마우 국내 피난민 캠프에서 국경없는의사회 팀이 이동 진료를 실시하고 있다 ©Aye Pyae Sone/MSF
암스테르담, 2018년 8월 11일
국제 의료 구호 단체 국경없는의사회에 따르면 미얀마 정부는 독립 인도주의 기관들의 북부 라카인주 접근을 여전히 막고 있어 이 지역 내 취약 계층의 의료...
2018.08.10
병동에 입원한 아동을 진찰하는 국경없는의사회 간호사. 온도, 심박수, 호흡 등 필수 요소를 체크하고 있다.
차드 일원에서 급성 영양실조는 고질적인 질병이다. 사헬 지대 인근 시골 지역뿐 아니라 차드의 수도인 은자메나에도 5세 이하 아동 사이에서 만성 영양실조를 발견할 수 있다. 150만 명이 거주하는 은자메나에도 영양실조 케이스가...
2018.08.08
콩고민주공화국 비코로에 위치한 에볼라 치료 센터에서 보호장비 (PPE)를 착용하고 있는 국경없는의사회 직원
8월 9일 업데이트
국경없는의사회,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 발병 대응
대응 첫 주 동안 국경없는의사회 팀은 발병 핵심 지역에 격리 시설 및 치료 유닛을 설치하는 한편, 지역 보건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기능하도록 지원했다....
2018.08.03
카메룬, 차드, 니제르, 나이지리아에 걸쳐 있는 차드 호 지역에서 비정부 무장 단체들과 정부군 사이의 격렬한 분쟁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은 약 1700만 명에 달한다. 230만여 명은 살던 곳을 떠나 현재 피난 중이다. 차드 호 분쟁은 피난민, 그리고 아직도 폭력의 한가운데서 살아가는 많은 이들의 정신건강에 특히나 해로운...
2018.08.02
글 | 하신혜 국경없는의사회 대외협력 보좌관
서울에서 비행기를 두 번 갈아타고 24시간을 꼬박 넘게 두 대륙을 건너 도착한 곳에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이 있다. 필자는 이곳에서 펼쳐지는 국경없는의사회의 의료활동 지원을 위해 한 달간 파견근무를 하였다.
케이프타운.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에 위치해 과거 대항해 시대의 희망봉으로...
2018.08.01
마르세유에서 출항을 기다리고 있는 국경없는의사회와 SOS 메디테라네가 공동 운영하는 구조선 '아쿠아리우스'
2018년 8월 1일, 마르세유/암스테르담
오늘 국경없는의사회와 SOS 메디테라네(SOS MEDITERRANEE)가 공동 운영하는 구조선 아쿠아리우스는 연장 입항해 있던 마르세유로부터 출항한다. 아쿠아리우스는 해상에서 곤경에...
2018.07.30
‘침묵’ 깬 남아공, 다시 시작된 협상
배경:
2018년 7월 27일, 제네바
오는 9월 뉴욕에서 열리는 결핵 관련 유엔 고위급 회담의 선언문 초안 작성을 위해 각국 대표들은 근 두 달간 뉴욕에서 기나긴 논쟁을 벌였다. 최종 버전에 가까운 초안이 7월 20일 유엔 총회 회장에게 제출됐고, 이 문서는 7월 24일까지 ‘침묵 절차’(...
2018.07.27
2018년 7월 26일, 은자메나
국경없는의사회는 차드의 수도 은자메나에서 5세 미만 아동 수천 명의 긴급 상황에 대응해 보건부와 파트너십을 맺고 치료식 센터를 열었다. 현재 은자메나에서는 급성 영양실조 아동을 치료하는 몇몇 기관들이 수많은 환자에 대응하며 허덕이고 있다.
급성 영양실조는 은자메나를 비롯해 차드 전역에서 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