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현장소식

서안지구: 의료서비스 접근성이 심각하게 차단된 팔레스타인 주민들

2025.01.14

헤브론(Hebron)의 H2 지역은 서안지구에서 가장 통제가 심한 구역 중 하나로 이곳에서 이스라엘 점령 아래 살아가는 주민들은 특히 가자지구에서 전쟁이 시작된 이후로 고통받고 있다. H2 내 국경없는의사회 활동이 수개월간 강제 중단된 가운데, 의료서비스 접근성은 심각하게 저해되고 주민들의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이 위험에 놓여 악화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상대로 전쟁을 벌인 이후 헤브론을 포함해 서안지구 내 이스라엘군의 제한 조치가 급격히 확대되었다. 2023년 12월 이스라엘군은 보안상의 이유로 5개월 넘게 H2 소재 자베르(Jaber) 지역 내 국경없는의사회 활동 중단을 강요했다. 이에 대응하여 국경없는의사회 팀은 자베르 인근 지역 검문소 밖과 텔 루메이다(Tel Rumeida)에 이동진료소를 열었다. 이곳은 H2를 벗어날 수 있는 주민들을 위해 마련되었지만 실제로 해당 시설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국경없는의사회 직원들이 H2 소재 자베르 센터에 위치한 국경없는의사회 이동진료소로 향하고 있다. 2024년 11월. ©MSF

 

“이제 자베르 소재 국경없는의사회 진료소에서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지만, 국경없는의사회 직원들이 H2 지역에 들어가는 과정에서 검문소에서 수색을 받는 등 지연이 발생해 접근이 여전히 어렵습니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은 어떤 경우에도 절대 임의로 거부되거나 방해받거나 차단되어서는 안 됩니다.”_클로이 얀센(Chloe Janssen) / 국경없는의사회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국경없는의사회는 이동진료소에 접근하는 데 자주 방해를 받는다. 가령 해당 지역에 진입하는 것이 금지되거나 이스라엘 공휴일에는 이동 제한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국경없는의사회는 H2 소재 이동진료소를 주 2회 운영하지만, 2024년 9월-11월에는 26회 중 7회는 진료를 강제로 취소해야 했다. 국경없는의사회 이동진료소에서는 매주 2회에 걸쳐 60-70명의 환자들에게 신체적 치료와 함께 주민들이 장기적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정신건강 지원도 제공하고 있다.

이렇듯 치료 제공에 발생하는 차질은 필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차단하는 등 지역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계속되는 제한 조치와 폭력, 괴롭힘, 공포 조장으로 인해 아동의 정신건강이 급격하게 나빠지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 임상심리사들은 아동들 사이에서 과잉행동 및 야뇨증, 악몽, 학업 능력 저하 등 정신적 트라우마 증상을 보이는 사례를 목격하고 있다.

 

서안지구에서 활동하는 국경없는의사회 상담사가 아동들을 대상으로 놀이 세션을 진행하고 있다. 2024년 11월. ©MSF

 

국경없는의사회는 이스라엘군이 의료지원을 포함해 기본적인 서비스에 대한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접근을 방해하는 제한적 조치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이스라엘은 주민들이 의료서비스에 방해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어떤 경우에도 절대 임의로 거부되거나 방해받거나 차단되어서는 안 된다.

헤브론 인구의 약 20%가 거주하는 H2는 서안지구에서 가장 통제가 심한 지역으로 이스라엘 통제 아래 살아가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여실히 보여준다. H2에는 약 7,000명의 팔레스타인 주민들과 수백 명의 이스라엘 정착민들이 거주하고 있는데(서안지구에서 이스라엘 주민들이 팔레스타인 도시에 정착한 유일한 지역), 이곳은 엄격한 이동 제한과 체계적인 폐쇄, 계속되는 폭력을 겪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 팀은 두 개의 진료소에서 의료서비스 접근성이 직접적으로 차단된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1차 의료서비스와 정신건강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겪는 것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볼 수 없습니다. 외상이 끝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끊임없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외상으로 인구 전체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당장 내일 분쟁과 점령이 끝나더라도 그 여파는 수년간 계속될 것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사람들에게 그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가장 어두운 시기에도 여전히 희망이 있다는 것을 말입니다.”_루시아 우스카테기(Lucia Uscategui) / 국경없는의사회 정신건강 활동 책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