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5일 폭력사태가 격화된 이후, 42만2000여 명의 로힝야족이 미얀마 라카인 주를 떠나 방글라데시로 탈출했다. 로힝야 난민들을 지원하는 한편 더 큰 공중보건 재앙을 피하려면, 방글라데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 ⓒAntonio Faccilongo/MSF
2017년 9월 22일, 방글라데시 쿠투팔롱
수십만 명의 로힝야 난민들이 도착한 방글라데시의 대규모 공중보건 재앙을 피하려면 인도적 구호 지원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 쿠투팔롱·발루크할리에 있던 주요 정착지 두 곳은 이제 근 50만 명의 난민이 밀집한 하나의 거대 정착촌으로 변모해 전 세계 최다 난민이 머무는 곳 중 하나가 되었다.
로힝야족을 겨냥한 일련의 폭력사태가 벌어진 뒤, 3주 만에 42만2000여 명이 미얀마 라카인 주를 떠나 방글라데시로 탈출했다. 앞서 몇 년 동안에도 폭력사태가 벌어질 때마다 수십만 명의 로힝야족이 국경을 넘어 탈출했는데, 최근 로힝야 난민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그 수가 더 커졌다.
새로 도착한 난민들 대다수는 적절한 거처, 식량, 깨끗한 물, 화장실이 없는 임시 정착지로 이동했다. 국경없는의사회 응급 의료 코디네이터 케이트 화이트(Kate White)는 이렇게 말했다.
“원래 시골 슬럼가였던 이 정착지들은 이 지역을 지나가는 유일한 2차선 도로 옆쪽에 만들어진 것입니다. 정착지 안팎으로 이어지는 길이 전혀 없어서 구호 지원이 매우 어렵습니다. 언덕배기에 자리해 있기 때문에 산사태에도 취약하고, 화장실도 전혀 없습니다. 이 정착지를 따라 걸어가려면 더러운 물과 사람의 배설물이 섞여 흐르는 곳을 헤치고 지나가야 할 정도입니다.”
깨끗한 물을 거의 구하지 못해 사람들은 논, 웅덩이, 손으로 파서 만든 얕은 우물에서 구한 물을 마시는데, 이 물은 사람의 배설물과 섞여 오염돼 있다. 9월 6일~17일, 쿠투팔롱에 위치한 국경없는의사회 의료 시설에서는 487명의 환자들이 설사 질환으로 치료를 받았다. 화이트 코디네이터는 이렇게 덧붙였다.
“탈수 때문에 생사의 기로에 놓인 성인 환자들을 날마다 받습니다. 성인들 사이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현상이죠. 공중 보건 비상사태가 코앞에 닥쳤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정착지 안팎에서 식량 확보는 극도로 불안정하다. 새로 도착한 난민들은 인도적 구호 지원에 완전히 의존해 있고, 시장 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데다, 도로도 부족해 가장 취약한 지역민들에게 접근하기도 무척 어렵다. 화이트 코디네이터는 이렇게 말했다.
“돈도 거의 없고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 배급되는 식량도 충분치 않아 많은 로힝야 사람들은 매일 흰밥 한 끼만 먹으며 버티고 있습니다. 며칠을 꼬박 굶다가 먹게 된 것이 방글라데시 식당 주인이 준 밥 한 그릇이었는데 그것을 식구 여섯이서 나눠 먹었다고 말한 난민들도 있었습니다.”
8월 25일 폭력사태가 격화된 이후, 42만2000여 명의 로힝야족이 미얀마 라카인 주를 떠나 방글라데시로 탈출했다. 로힝야 난민들을 지원하는 한편 더 큰 공중보건 재앙을 피하려면, 방글라데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 ⓒAntonio Faccilongo/MSF
한편, 국경없는의사회 진료소를 비롯한 의료 시설들은 환자들로 넘쳐난다. 8월 28일~9월 17일, 국경없는의사회 진료소에서는 총 9602명의 외래환자를 받았고, 3344명의 응급실 환자를 받았다. 폭력사태로 부상을 입은 환자 225명, 성폭력 피해자 23명도 국경없는의사회 시설을 찾았다.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데다 미얀마에 있던 로힝야족 공동체 사이의 예방접종률도 매우 낮다고 알려져 있어 이 지역에서 감염성 질환이 일어날 위험이 매우 높다. 질병 창궐의 위험을 낮추고 로힝야족과 방글라데시 주민들을 지키려면 홍역·콜레라를 예방할 포괄적인 예방접종 캠페인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에 대비해 국경없는의사회는 쿠투팔롱 의료 시설에 격리 병동을 준비해 두었다. 콜레라·홍역 의심환자, 확진환자가 나왔을 때 이에 신속히 대처하려는 것이다.
국경없는의사회 긴급구호 코디네이터 로버트 오누스(Robert Onus)는 이렇게 말했다.
“캠프 상황 특히 거처, 식량, 식수위생 여건은 몹시 불안정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아주 작은 사고만으로도 질병 창궐이 일어나 위기와 재앙의 경계선을 넘을 수도 있습니다.”
오누스는 이렇게 덧붙였다.
“수십만 난민이 극도로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고, 그곳에서는 공중보건 재앙의 모든 전조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이번 위기가 보건 측면에 초래하는 여파가 전부 드러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식량, 깨끗한 물, 거처, 위생 측면에 초점을 맞춘 대규모 인도주의 개입이 시급히 필요합니다. 또한 이 같이 혼잡한 대규모 정착촌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해결책도 마련되어야 합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1985년에 처음 방글라데시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 국경없는의사회는 콕스 바자르 지역 내 쿠투팔롱 임시 정착지 근처에서 의료 시설·진료소 각 1곳을 운영해 포괄적인 1차 및 응급 의료를 지원하는 동시에 로힝야 난민들과 현지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입원환자 진료 및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규모 난민 유입에 대응해 국경없는의사회는 난민들을 위한 식수위생 및 의료 지원 활동도 대폭 확대했다.
그 밖에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 내 캄란기르차르 슬럼가에서는 정신건강 진료, 임신·출산 진료, 가족계획, 산전 진료, 나아가 공장 노동자들을 위한 사업장 보건 프로그램도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