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현장소식

사헬(Sahel) 영양실조 위기

2012.07.12

2012년 아프리카 사헬 지역에서 다시 식량부족위기가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UN은 5세 미만 어린이 300만명이 영양실조에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영양실조는 사헬 지역에서 반복되는 문제로, 이 지역 영양실조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높은 상황입니다.

상황이 좋은 해에도 수 십만 명의 어린이들이 심각한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국경없는의사회가 이 지역에서 하는 일은?

국경없는의사회는 오랫동안 사헬 지역에서 5세 미만 어린이의 영양실조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영양 실조 치료하고 예방에 힘써왔습니다. 또한 말라리아와 같은 치명적 질병 퇴치를 비롯해서 광범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해왔습니다.

니제르(Niger) 한 국가에서만, 국경없는의사회는 2011년 약 104,000명, 2010년 150,000명의 심각한 영양실조에 걸린 어린이를 치료했습니다.

이미 질병에 걸린 이들을 치료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방적 차원에서 니제르나 말리(Mali)에서 우유에 기반한 영양보충식을 공급했으며 치명적인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했습니다.

또한 긴급 대응의 규모를 넓히고 니제르, 말리, 모리타니(Mauritania), 세네갈(Senegal), 차드(Chad) 그리고 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 등 가장 피해가 큰 지역에 전문가 팀을 파견했습니다.

분쟁과 폭력 사태

말리, 니제르와 같은 국가에서 분쟁과 폭력사태가 발생해 주민들의 삶은 더욱 피폐해 지고 있습니다. 1만 명의 사람들이 말리 북부를 떠나 피난길에 올랐고 니제르 난민 캠프에 정착을 원하고 있습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이러한 난민캠프에 대한 의료 지원을 펼치고 있습니다.

사헬 위기를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현재 국경없는의사회는 일반기금을 통해 모든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정 목적을 위한 모금 활동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일반기금을 상시 모금하면, 특정 목적기금이 마련되기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긴급 사항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합니다.

사헬 지역은 어디인가요?

사헬 벨트는 세네갈에서 아프리카의 뿔(아프리카 북동부, Horn of Africa)이라 불리는 지역을 잇는 사막 지역으로 여러 국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헬 지역 최근 소식

사헬 지대 영양위기: 국경없는의사회 상황 진단 - 30년간 개입 경험을 바탕으로
사헬 지대 – 예견되는 영양위기에 대한 국경없는의사회의 이원적 대응활동
사헬: 영양 실조 위기의 숨겨진 면
사헬(Sahel) 의 영양실조, 장기적인 해결책 필요

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

국경없는의사회는 부르키나파소에 머무는 말리 난민들에게 식량과 식수를 배급하고 있으며,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르키나 파소: 46,000명의 말리 난민에 대한 지원 부족

니제르(Niger)

국경없는의사회는 분쟁으로 인해 니제르 틸라베리(Tillabéry) 지역에 피난 온 말리인 1만 명을 대상으로 의료 구호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차드(Chad)

지역 마을 보건소 직원들이 마을을 방문해 어린이 영양실조를 예방하고 치료하고 있습니다.

국경없는의사회, 사헬 지역의 최근 급증한 영양실조 긴급 대응으로 7월까지 차드 각지에 치료센터 7개소 추가 개설
차드: 높은 영양실조율에 긴급대응으로 각지에 치료센터 개설
차드: 식량공급 차질에 질병도 확산

모리타니(Mauritania)

지난 1월부터 약 57,000명의 말리인이 모리타니 음베라(Mbera)난민 캠프로 피난 왔습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지역 주민과 난민을 돕기 위해 의료 및 배급 지원을 벌이고 있습니다.

모리타니: 매일 1천여명에 가까운 말리 난민이 음베라 캠프로 유입

말리(Mali)

국경없는의사회는 이웃 국가로 피난한 말리 난민들을 돕고 있습니다.

세네갈(Sengal)

세네갈 디올벨(Diourbel)과 마탐(Matam)지역에 어린이 영양실조 발생 위험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디올벨 지역에 15개 병상을 갖춘 치유식 센터를 건립하고 있으며, 밤베이(Bambey) 지역에 이미 운영중인 센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마탐 지역에서 국경없는의사회는 지속적으로 영양실조 발생률 증가 여부를 모니터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