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드에서는 올해 가뭄으로 생계유지를 위해 기르는 가축의 먹이도 구하지 못하고 있다. ©Claudia Blume/MSF
차드 서부 마사코리(Massakory) 마을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생후 9개월 아기 엄마 카디자 이바(Khadidja Iba/30세)가 대기실에 앉아 있다. 여섯 아이의 엄마이기도 한 카디자는 영양실조에 걸린 아기의 진료를 위해 두 시간을 내리 걸어 이곳에 왔다. 한 달째 치료 중인 아기는 매주 센터에 내원해 진찰을 받는다. 의료진이 보호자에게 다음 진료까지 아기에게 먹일 일주일 치 영양치료식 한 팩을 건넸다.
*영양치료식(Plumpy Nut): 영양실조 치료를 위해 제조한 땅콩과 우유로 만든 간편식.
한 여성이 생후 13개월 된 아들을 안고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 센터에서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 Claudia Blume/MSF
만성적 위기가 된 영양실조
국경없는의사회는 2021년 차드의 아져 라미스(Hadjer Lamis)주에 중증 급성 영양실조 환자가 28,000명 이상 예상된다는 경고를 접했는데, 심지어 이 지역 보건 구역 5곳 중 지원을 받는 구역은 한 곳뿐이었다. 이에 작년 9월 영양실조 대응 프로그램을 개시했다.
영양실조는 차드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적인 위기다. 특히 5세 미만 아동과 임산부에게 치명적인 영양실조는 흉작이나 불균형한 식사, 사회문화적 요인 등 복잡한 이유로 발생한다. 특히 올해는 평소보다 유난히 짧았던 장마로 영양실조 위기가 악화했다.
“올해는 비가 유달리 적게 왔습니다. 제가 기억하는 그 어떤 해보다 가장 적었던 것 같습니다. 가물어서 농작물이 거의 자라지 못했어요. 시장에서 야채를 사려면 제값보다 두 배를 더 줘야 합니다. 먹을 게 너무 부족해요.” _카디자 이바 / 30세 여성
식량 부족보다 심각한 물 부족
극심한 가뭄으로 고통받는 이 지역 주민들에게 식량 부족보다 더 심각한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식수 부족이다.
“마을에 두 개의 우물이 있는데, 사람과 가축 모두가 마시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우물에서 5분 넘게 펌프질해야 물을 끌어 올릴 수 있기도 하지만 물맛도 이상해서 우물물은 거의 가축에게 먹입니다. 식수는 당나귀를 타고 다른 마을까지 가서 구하는데, 왕복 3시간 정도 걸립니다.” _카디자 마하마트(Khadidja Mahamat) / 마을 주민
깨끗하지 않은 식수는 수인성 질병인 설사를 비롯한 여러 보건 문제를 야기하며 아동이 영양실조에 걸릴 확률을 높인다.
국경없는의사회의 위기 대응
국경없는의사회는 보건 구역 내 영양실조 치료센터에서 아동 환자를 치료하고 마사코리 병원에서 중증 환자 치료를 지원하는 것 외에도 외곽 마을을 방문해 아동 영양실조 예방 및 감별법을 부모에게 교육한다. 보건증진팀이 영양실조 중증도를 구분하는 뮤악 밴드(MUAC)* 사용법을 시연하기도 한다.
*뮤악 밴드(MUAC): 팔뚝 굵기로 영양 상태를 측정해주는 종이로 만든 밴드. 아동의 팔에 둘러 아동의 영양실조 경·중증도를 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경없는의사회 보건 증진 전문가가 부모들에게 뮤악 밴드 사용법을 교육하고 있다. © Claudia Blume/MSF
국경없는의사회가 방문하는 외곽 마을엔 여성과 아동, 고령 남성이 대부분이다. 젊은 남성은 대부분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차드 내 다른 지역이나 카메룬, 니제르, 리비아 등 인접국으로 떠나거나 소떼를 이끌고 목초지를 찾기 위해 차드 남부로 떠났기 때문이다. 이들은 다음 파종 시기에나 돌아온다. 젊은 남성의 이러한 일시적 이주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지만, 올해는 가뭄으로 인해 일정을 앞당겨 떠났다고 한다.
“앞으로가 걱정입니다. 비가 내릴 때까지 하염없이 기다리는 수밖에 없어요. 가뭄이 계속된다면 당장 내일도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_ 오스만 아바카르(Osman Abakar) / 50세 남성
최악은 아직 오지 않았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차드 영양실조 사태의 고점이 지난 후 비교적 뒤늦게 소식을 접했다. 활동 개시 후 15주 만에 내원한 영양실조 아동 환자 1,600명 이상을 치료했으며, 동시에 내년에도 이어질 영양실조 위기를 대비하고 있다.
“최악의 상황은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는 두려움이 존재합니다. 수확할 곡물이 없는 시기인 기아 공백(hunger gap) 이 평소보다 이르게, 더 길고 심각한 수준으로 시작할 수도 있죠. 이제는 일시적인 기아 공백 현상 아닌 지속적인 위기로 봐야 합니다. 더 나아가, 영양실조로 사망하는 아이들을 살리기 위해선 대응을 더욱 강화해야 하는데, 영양실조 및 식량 부족 대응 활동 지원금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_이브라힘 배리(Ibrahim Barrie) / 의료팀 책임자
반건조기후 지대인 사헬 지역은 기온 상승, 불규칙한 강수량, 사막화 등 급격한 기후 변화가 일어나는 곳으로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에 취약한 지역이다. 지난 10년간, 차드의 사하라 및 사헬 지역은 남쪽으로 150km 정도 늘어났고 농지와 목초지가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