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에이즈(AIDS) 구호 비상계획'(President’s Emergency Plan for AIDS Relief, 이하 PEPFAR)에 대한 자금 지원과 기타 모든 해외 원조를 최소 90일 동안 일시 중단하기로 한 미국 정부의 결정이 HIV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PLHIV)에게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 정부는 특정 치료 프로그램은 최소 4월까지 유지될 수 있다고 발표했지만, PEPFAR 프로그램의 중요한 요소들은 동결된 채라 우려가 되는 상황이다.
HIV보유자가 매일 복용하는 약 (국경없는의사회 자료사진) ©Michel Lunanga/MSF
미국 정부가 PEPFAR 자금을 동결한 지 3주가 지났지만 수백만 명에게는 생명선과 같은 PEPFAR 지원이 끊긴 것인지에 대한 혼란과 불확실성이 아직도 만연합니다. 일부 프로그램은 동결에서 제한적으로 제외되었지만, 국경없는의사회가 활동하는 여러 국가에서 주민들은 이미 구명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잃었으며 치료가 계속해서 제공될지 그 여부와 시기를 알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미국 정부가 PEPFAR 프로그램 전체에 대한 자금 지원과 기타 필수 보건 및 인도적 원조를 즉시 재개할 것을 촉구합니다.”_아브릴 베누아(Avril Benoît) / 국경없는의사회 미국 사무총장
동결 조치를 둘러싼 혼란이 일주일 넘게 이어진 이후 2월 1일 미국 정부는 일부 프로그램 재개를 허용하는 제한적 면제 조치를 HIV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함께 발표했다. 하지만 지침 내용이 불분명했으며, PEPFAR 국가 팀들에 즉각적으로 가 닿지 않았다. 국경없는의사회가 보유한 광범위한 네트워크에서 면제 지침의 결과로 활동을 재개한 단체는 단 한 곳도 없었다. 2월 6일 미국 정부는 HIV 치료와 모자간 수직감염 예방(prevention of mother to child transmission, PMTCT) 프로그램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추가로 발표한 지침에는 HIV 예방 및 치료, 지원 등 주요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여전히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가령 성소수자와 성노동자를 포함한 모든 취약인구를 위한 노출 전 예방요법(pre-exposure prophylaxis, PrEP)과 유병률이 높은 국가에서 여성 청소년과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지원 활동, 지역사회 주도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포함되지 않았는데, 이는 HIV 유행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들이다.
국경없는의사회는 미국 정부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지 않으며 PEPFAR 자금 삭감 또는 동결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국경없는의사회 활동 다수가 이번 중단 조치로 영향을 받은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활동을 조정하고 변경해야 했으며, 이러한 동결 조치로 인해 이미 전 세계 곳곳에서 국경없는의사회 프로젝트가 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가 여러 HIV/AIDS 및 관련 보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이미 환자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PEPFAR 자금 지원을 받는 단체들을 통해 HIV 서비스(검사, 치료, PrEP)를 제공하는 다수의 진료소가 문을 닫아 필수 의약품을 구하려는 환자들이 혼란과 곤경에 빠졌다. 모잠비크에서는 포괄적인 HIV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경없는의사회의 주요 파트너 단체가 활동을 완전 중단해야 했다. 짐바브웨에서는 HIV 지원을 제공하는 대다수 단체가 활동을 중단해 이로 인해 여성 청소년과 젊은 여성의 신규 HIV 감염 사례를 줄이기 위한 DREAMS 프로그램이 중단되었다.
HIV 서비스와 치료가 중단되면 치료 중이거나 응급 상황의 환자들이 HIV 치료를 받는 데 심각한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HIV 약은 매일 먹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내성이 생기거나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_톰 엘만(Tom Ellman) / 국경없는의사회 남부 아프리카 지부 남아프리카공화국 의료 국장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이번 원조 동결로 인해 현지에서 PODI로 알려진 지역사회 기반 무료 치료제 배급 및 동료 지원 지점 운영에 차질이 생겼다. PODI는 수도 킨샤사(Kinshasa)에서 실시한 가장 성공적인 항레트로바이러스(ARV) 치료제 배급 모델이다. HIV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낙인이 강하고 빈곤으로 인해 치료 접근성이 낮은 콩고민주공화국에서 PODI는 치료가 지연되거나 주민들이 치료를 포기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의학적으로 필요한 접근법이다. PEPFAR 지원을 받는 PODI 및 기타 활동이 중단되면서 수천 명이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고 후기 HIV에 걸릴 위험이 커졌다. 국경없는의사회는 킨샤사에서 후기 HIV 치료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동결 조치가 계속되면 증가하는 지원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2022년 콩고민주공화국 킨샤샤에서 주민 대상 HIV 인식 제고 활동중인 국경없는의사회 팀 ©Michel Lunanga/MSF
남수단에서는 HIV 보유자의 약 51%가 자신의 감염 여부를 알고 있으며 47%가 치료를 받고 있다. 이 프로그램이 중단되면 수천 명의 사람들과 이들이 속한 지역사회가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된다. 그동안 국경없는의사회는 PEPFAR 프로그램이 필수적인 HIV 치료를 제공하면서 생명을 구하는 것을 직접 목격했다. 남수단에서 PEPFAR 지원은 필수적이다.
PEPFAR 지원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미국 해외 원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 특히 국제개발처(USAID)의 원조 실행 사업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기술적 및 기타 지원과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존한다. 해외 원조 동결 및 업무 정지 명령으로 인해 이러한 기관들이 계속해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소속 직원들은 즉시 업무가 중단되거나 파견 국가에서 소환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 제한적으로 허용된 지원 활동도 언제 재개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이러한 중단 조치로 인해 생명이 희생되고 HIV 퇴치를 위한 수년간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것입니다.PEPFAR가 생명선인 수백만 명에게는 하루하루가 비상 상황입니다.” _아브릴 베누아
PEPFAR 지원 프로그램은 지난 20년 넘게 파트너 국가들에서 광범위한 보건 체계에 깊이 통합되어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따라서 이번 중단 조치에 따른 여파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순 HIV 예방 및 치료를 넘어 포괄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도 일부 영향을 받았다. 가령 우간다에서는 PEPFAR 자금으로 운영되는 에볼라를 포함한 감염병 감시 및 대응 활동들이 중단되었다.
25년 전 국경없는의사회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HIV/AIDS 치료를 처음 시작했을 때는 사용할 수 있는 항레트로바이러스(ARV) 치료제도 없었습니다. 모든 감염 진단이 사형 선고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지역사회는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_톰 엘만
그 이후로 PEPFAR 프로그램은 2,500만 명 이상을 살리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HIV 대응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었다. 그러나 지속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예방 및 치료 서비스, 인구집단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젠더기반폭력 프로그램, 기타 중요한 분야 등 HIV와 관련된 모든 프로그램, 서비스, 물품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의료서비스 제공자로서 국경없는의사회는 이러한 생명을 살리는 프로그램이 중단되는 것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
PEPFAR 주요 활동들이 일시적으로라도 중단되면 HIV 감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거나 HIV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 위험에 직면하게 됩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미국 정부가 PEPFAR와 관련된 모든 활동을 포함해 인도적 및 보건 원조에 대한 모든 자금 지원을 즉시 재개할 것을 촉구합니다.” _아브릴 베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