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2일, 제네바/케이프타운 – 국경없는의사회, 그리고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결핵 퇴치 국제협력사업단’(Stop TB Partnership)은 오늘, 총 24개국의 결핵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정책과 관행을 점검한 ‘Out of Step’ 보고서 2판을 내놓았다.
향후 20년 사이에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도 낮추고, 새로운 감염도 90% 이상 줄이겠다는 세계적 목표를 달성하려면, 이 보고서에 제시된 14개 권고 사항을 즉시 시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이 권고 사항들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지원하는 내용들이다. 치료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지금도 해마다 150만 명의 생명을 앗아가고 있는 결핵은 지구 상에서 가장 치명적인 감염병으로 손꼽힌다.
국경없는의사회 '필수의약품 접근성 강화 캠페인'(Access Campaign)의 결핵 자문위원 그라니아 브릭덴(Grania Brigden) 박사는
“결핵 치료에 있어서 사람들에게 고통과 사망의 위험을 배가하는 시대에 뒤처진 관행들은 이제 떨쳐 내야 합니다.”
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 살펴본 24개국 중 30%(8개국)만이 결핵 진단에 있어 더 새롭고 효율적인 ‘신속 분자 검사’를 활용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 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전략을 실행하려면 분명 재정적인 어려움이 따르지만, 조기에 결핵을 진단하여 치료에 들어가려면, 신속 분자 진단 검사를 확충하는 방안을 각국이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 이로써 전염 사슬도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비용적인 영향도 줄일 수 있고, 약제내성 결핵 감염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WHO 산하 결핵 퇴치 국제협력사업단의 루시아 디티우(Dr. Lucica Ditiu) 사무처장은 “2016-2020 결핵 퇴치를 위한 결핵 퇴치 국제협력사업단의 글로벌 플랜에 제시한 90-(90)-90 목표, 그리고 WHO의 결핵 퇴치 전략에 포함된 장기 목표들을 달성하려면, 결핵 진단 및 치료에 관한 국제사회의 권고 사항에 맞도록 각국의 정책과 관행을 시급히 개선해야 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조사 대상국 중 60%(24개국 중 14개국) 정도는 ‘카테고리 II’의 재치료 방식을 지속하고 있는데, 이는 다제내성 결핵(MDR-TB), HIV/TB 동시 감염 등이 많이 나타나는 국가에서 치료 효과가 좋지 않다. 각국이 모든 결핵 환자들에게 신속 분자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개편하고 나면, WHO 권고 사항에 맞도록 재치료 방식을 단계적으로 중단해 완전히 그 자취를 없애야 한다.
의무적인 입원 또한 불필요하다. 국경없는의사회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의료 현장 부(副) 코디네이터 비비안 콕스(Vivian Cox) 박사는 “국경없는의사회 프로젝트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우리는 약제내성 결핵 환자의 입원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왔습니다. 심지어 자원이 빈약한 곳에서도 환자들이 집에 머물며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알려 왔죠.”라며 “약제내성 결핵 치료를 분산시키는 것은 치료 프로그램 운영 측면에서도 비용 효율적이고, 의료적으로도 집중화된 치료만큼이나 효과적입니다. 게다가 환자와 그 가족, 해당 지역사회 편에서 보더라도 분산된 치료법이 훨씬 더 바람직합니다.”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조사 대상국 중 12%만이 국가 필수 의약품 목록에 현재 약제내성 결핵 치료에 쓰이는 모든 의약품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최신 결핵 치료제를 구하기 위한 절차를 마련해 둔 국가는 조사 대상국의 65%였는데, 치료제가 가장 필요한 국가에서 제약회사들이 약품을 등록할 수 있게 해 환자들이 약을 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브릭덴 박사는 “향후 3년 안에 WHO 권고 사항을 완벽하게 충족시키도록, 모든 나라들이 자국의 정책 및 관행을 개선하여 결핵으로 인한 질환 및 사망을 정면에서 다루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반 세기 만에 처음 선보인 신종 결핵 치료제들, 필요한 사람의 2%만 사용
새 결핵 치료제 2종이 나온 이후로 근 3년이 지났지만, 이 약들이 필요한 사람들 중 2%만이 실제로 약을 제공받는다. 존슨앤존슨(얀센)에서 제조한 베다퀼린(제품명 서튜러), 오츠카제약에서 제조한 델라마니드(제품명 델티바)는 반 세기 만에 처음 선보인 신종 결핵 치료제들로, 약제내성 형태의 결핵에 감염된 사람들에게 새 희망이 되고 있다.
하지만 베다퀼린과 델라마니드의 접근성은 매우 낮다. 2015년 11월을 기준으로, 지금까지 베다퀼린을 제공받은 사람은 3천 명이 채 되지 않는다. 델라마니드를 제공받은 사람은 약 100명에 그친다.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XDR-TB) 감염자가 약 4만8000명에 달하고, 광범위 약제내성 이전 단계의 결핵(pre-XDR-TB) 및 다제내성 결핵(MDR-TB) 감염자는 이 숫자에 두 배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신약을 제공받는 사람들의 수는 형편없이 낮다.
이 치료제들의 접근성 강화를 방해하는 한 가지 커다란 장벽은 이 치료제들이 제한된 국가에만 등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 치료제들을 기증받지 못하는 국가에서 치료제 가격이 매우 높다는 점도 장애물이 되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 '필수의약품 접근성 강화 캠페인'(Access Campaign)의 결핵 자문위원 그라니아 브릭덴(Grania Brigden) 박사는 “다른 치료 방안을 다 동원해 봤던 사람들에게 새 희망을 줄 수 있는 약들이 분명히 있는데도, 실제로 약을 구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것은 매우 분한 일입니다.”라며 “생명을 살릴 수도 있는 새 치료제를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그 약을 구하지 못한다면, 과연 그 약은 왜 존재하는 것일까요?”라고 말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결핵의 영향을 받는 여러 국가에 이 치료제들을 등록하여 약의 유통을 촉진하고, 저소득/중소득 국가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약을 공급함으로써 세계적으로 이 신약들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줄 것을 두 제약회사에 요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