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현장소식
2022.01.25
국경없는의사회 팀이 환자 이송을 지원하고 있다. 2016년 예멘. ©Malak Shaher/MSF
지난 21일 새벽, 사우디가 주도하는 아랍 동맹군이 예멘 북부 사다(Sa’ada) 지역의 임시 수용소에 공습을 자행했다. 예멘 보건부는 이번 공습으로 최소 82명의 사망자와 266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는데, 추가 구조 작업이...
2022.01.21
태풍 라이(Rai)가 여러 해안 마을을 휩쓸고 지나가 건물과 선박이 파괴됐고, 지붕이 통째로 날아간 건물도 많다. ©MSF/Chenery Lim
작년 12월 필리핀을 강타한 태풍 ‘라이(Rai)’로 수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태풍으로 초토화된 디나가트(Dinagat)섬과 시아르가오(Siargao)섬 등...
2022.01.19
차드에서는 올해 가뭄으로 생계유지를 위해 기르는 가축의 먹이도 구하지 못하고 있다. ©Claudia Blume/MSF
차드 서부 마사코리(Massakory) 마을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생후 9개월 아기 엄마 카디자 이바(Khadidja Iba/30세)가 대기실에 앉아 있다. 여섯 아이의 엄마이기도 한 카디자는...
2022.01.14
예멘 아덴(Aden)의 알-감후리아(Al-Gamhouria) 병원 내 국경없는의사회 집중치료실에서 의료진이 중증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2021년 3월. ©Athmar Mohammed/MSF
최근 세계보건기구가 위·중증 코로나19 환자를 위한 경구용 치료제 바리시티닙(baricitinib)의 사용을 권장했다. 이에...
2022.01.13
리비아 트리폴리에서 60km 떨어진 곳에 있는 소르만 여성 구금 센터에 구금된 여성과 아기. ©Guillaume Binet/Myop
"평화 시위를 벌이던 600명 이상의 이주민, 망명신청자, 난민이 리비아 트리폴리에 위치한 아인 자라(Ain Zara) 구금센터에 강제 구금됐습니다. 이들의 요구는 재정착, 신변 보호, 리비아 밖으로의...
2022.01.12
2021년 6월부터, 수천 명의 난민이 벨라루스를 거쳐 유럽연합(EU) 국가로의 입국을 시도하며 EU-벨라루스 국경 위기가 불거졌다. 이들은 대부분 이라크 난민인데,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콩고민주공화국, 카메룬 출신 난민도 있다.
벨라루스가 이주민 유입을 다소 완화하는 추세지만, 이를 두고 폴란드 및 리투아니아는 벨라루스의...
2022.01.06
미얀마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경없는의사회 팀이 작년 한 해 이루어진 코로나19 활동을 돌아보며, 그간 마주했던 한계와 이를 극복해가며 얻은 교훈을 전했다.
미얀마 카친(Kachin)주 미치나(Myitkyina) 지역의 국경없는의사회 코로나19 치료센터에 입원한 노모를 간호하는 아들. ©Ben Small/MSF
2022.01.01
작년에 이어 또 힘겨운 한 해가 지나갔습니다. 전 세계 취약 지역의 환자들은 여전히 필수 의약품을 구하지 못해 고통받았습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더 많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필수 의약품 접근성 강화 캠페인’을 위한 의료 옹호 활동을 펼치고 있는데요, 2022년 새해에 국경없는의사회가 이루고 싶은 바람과 이를 이루기 위해 지금껏 전...
2021.12.29
모잠비크 카부델가두(Cabo Delgado)에서 발생한 무력 분쟁으로 피난한 국내실향민이 무에다(Mueda) 외곽 지역에서 줄을 서고 있다. ©Igor G. Barbero / MSF
모잠비크 카부델가두(Cabo Delgado)에서 무력 분쟁이 지속되어 수십만 명의 피난민이 발생하고 있다. 카부델가두 북부의 무에다(Mueda...